교회건축 4주차-2

ARCHITECTURE/DESIGN Ⅱ 2021. 8. 15.

기존 스페이스 프로그렘입니다.

 

어느정도 대략 프로그램을 정리했으니

이제 자세하게 어떤 컨셉을 가지고 프로그램에 들어갈지 설명과 범위가 필요했습니다

 

각 공간과 성격에 맞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조닝과 배치에 맞게 디자인합니다.

 

간단하게 버블을 활용하여 각 공간들의 상호작용을 생각하며 조닝을 완성시킵니다.

하지만 조닝은 각공간의 크기와 규모에 대해서 생각하며 대지에 맞게 계획해야합니다.

 

저는 가장큰 스페이스 프로그램 공간이였던  예배당, 교육공간

그리고 배치계획에서 가장먼저 이루어질 수 있는 주차장을 먼저 계획했습니다.

 

ALT는 두가지로 예배당과 교육공간의 연결되어 있는 것과 분동형으로 생각했습니다.

 

 

ONLY MY THINK!

 

만약 교회 실내를 들어가기 힘들다면?

코로나 때문에 평소 외부인들에 출입이 힘들어지게 될 수 있기 때문이지!

교회 외부를 커뮤니티 공간으로 이용하면 가능하지 않을까?

 

그 때문에 교회에 잘 찾아오지 않았던ㄷ 사람들은 더 찾이 않아!!

 

기존에 있던 망동산 공원을 이용하여 자연과의 조화로운 형태를 만든다.

삼각형은 방향성을 뛴다.

삼각형의 높이는 방향성에 대한 마음을 뜻한다.

신에 대한 높은 마음, 다가가고 싶은 마음, 신을향한 사랑

바벨탑

신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져

 

 

 

기존에 망동산과 조화로운 건축을 하기 위해서 기존 망동산의 입면에 대해서 파악이 필요했다.

 

망동산과 조화로운 건축은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이 든다.

 

십자가는 교회에서 상징성을 가지지 않는다.

십자가를 향해 기도하는 행위는 우상숭배와 같다는 표현을 쓰는 목사님도 있다.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우리는 십자가에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지만

십자가를 보고 교회에 대한 생각을 하기도 한다.

 

제단에서 설교를 하는 목사님 주위의 프레임을 설정하여 집중력을 높일 수 있을까?

목사님이 설교하는 장소의 부피감을 통해? 높이를 통해?

망동산 대지에 대비하여 계단식이나 스킾플로어 식으로 해볼까?

망동산과 연결해서 자연스러운 지역사회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계단을 불규칙한 형식으로 망동산과 공통성을 높인다.

 

'ARCHITECTURE > DESIGN 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 건축 설계 Ⅱ 5-2주차  (0) 2021.09.08
교회 건축 5-1주차  (0) 2021.08.15
교회 건축 4주차  (0) 2021.08.10
건축 설계 Ⅱ 3-2주차  (0) 2021.08.10
건축 설계 Ⅱ 3-1주차  (0) 202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