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건축 설계 6-1주차

ARCHITECTURE/DESIGN Ⅱ 2021. 9. 13.

이제 건축설계 중간마감이 되었습니다.

기존에 정리했던 표에서 좀더에서 어떤 것들을 가져와야 하는지 필요했어요

 

기존에 설문조사를 했던 부분들도 더욱 자세히 표현하였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필요성을 3가지로 나누고

일반적인 부분

개인적인 부분

공간적인 부분

대지와 니즈에 맞게 시나리오를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코이노니아 , 즉 교제, 만남, 공동체

라는 의미를 가진 컨셉으로 가자 생각했고

 

이 교제에는 3가지 측면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삼위일체 하나님과 인간과의 교제

인간 서로간의 교제

성도와 주민간의 교제입니다.

 

 

그리고 예배공간에 필요한 실들은 어떤것이 있을지 우선 큰 범위내에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공간에 대해서 MAIN SPACE 와 SUB SAPCE로 나누어서

공간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 그리고 PARKING에 대해서 어떻게 배치를 할것인지

배치계획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3가지 ALT가 나왔고 알트에 점수를 매겨서 가장 적합한 공간을 찾으려 했습니다.

 

그리고 최종 선택했던알트에 버블다이어그램으로

조닝을 해보면서 실들의 위치가 어떻게 들어갈 것인지 평면적 단면적으로 생각해보았습니다.

 

컨셉에 대한 개념입니다.

 

하나님과 교제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말씀과 기도를 통한 교제입니다.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해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최초의 성경은 십계명입니다.

십계명은 5:5로 나눌 수 있는데 그것은

하나님에 대한 내용 : 사람들에 대한 내용 입니다.

 

그렇다면 이 두가지로 나뉜 공간을 배치계획에서

MAIN SPACE 와 SUB SPACE로 했던 것으로 낱냅니다.

 

 

십계명을 떠올립니다. 십계명은 두석판 메스를 가집니다.

두 공간의 다름을 나타내기위해서 하나의 공간을 회전시킵니다.

 

또한 부지 옆 망동산 공원에는 돌의 표현들이 굉장히 인상적인데 그것을

망동산의 암석의 이미지와 십계명의 석판의 이미지를 혼합하여 메스를 표현합니다.

 

사례로서 알바알토의 도서관을 들어 보겠습니다.

알바알토는 두가지의 공간을 이음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그 공간 접합부에 원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표현하였습니다.

 

그 원형은 나아가 더욱 웅장하고 확실한 공간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원은 확장성에 의미를 두기도 하기 때문에 전개공간으로서 적합합니다.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입니다. 어떠한 공간에 대해서 두가지 공간이 나뉘고 그 공간을

원형으로서 감싸주는 형태를 생각했습니다.

 

이후 기존에 배치에 대해서 건물에 좀더 적합한 형태를 찾기 ㅣ작했습니다.

 

중간마감의 메스다이어그램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암석과 같은 메인공간과 서브공간을 원형으로서 이ㅓ주고

원형공간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부속공간들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원형에서 가운데 부분을 뚫어 중정공간으로서 활용하여 내부에서 외부를 보는 시선을 생가합니다.

 

여기까지가 중간마감입니다. 

'ARCHITECTURE > DESIGN 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설계 Ⅱ 7 - 1주차 , 교회건축설계  (0) 2021.10.17
교회건축 설계 6-2주차  (0) 2021.09.22
교회 건축 설계 Ⅱ 5-2주차  (0) 2021.09.08
교회 건축 5-1주차  (0) 2021.08.15
교회건축 4주차-2  (0) 2021.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