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 Ⅵ - 리모델리 설계 - 14주차 -1 최종마감전
건축설계 Ⅵ - 리모델리 설계 - 14주차
이제는 설계에 있어서 80퍼센트 정도 픽스가 이루어진 상태이고
여기서 디테일한 부분들을 찾아가는 작업을 하였다.
작업에 앞서 기존 우당도서관 도면을 다시 보자
가도면
기존 우당도서관의 평면이다.
지하층은 기둥을 기준으로 직사각형 박스로 이우러져 있었다.
1차 도면 부분이다.
최종 픽스된 도면은 아님!!
기존에는 지하 2층을 기계실과 보존서고공간으로서 이용하기도 하고
기존 공간의 목적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을 고려하여
계획에서 뺀 점이 있었다. 그래서...이제야 좀 그리는 부분이 있다..
지난주에는 제1전시장 옆에 오디토리움과 연계하여 화장실을 배치하였지만
기존에 있던 서쪽 코어를 허름으로써 2층은 리딩데크를 배치하고 지하1층 공간에는 화장실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오픈형 수장고의 특성에 맞게 자유로운 동선을 고려하여 가구를 통해 배치하였다.
여기는 달라진게...없네
마찬가지~
근데 ctb가 없어진건가... 왜케 다 찐하게 나왔지
이후 먼저 도면을 확정짓는 과정을 거친다.
점점...디테일이 들어간다..
아마 최종도면
이제 최종도면!!
도면을 확정지었으니~ 이제 3D 모델링 바로 고
모델링 시작
스케치업으로 올리기 시작하여!!
12월 5일 작업 내용인데 진짜....급하고 빨르게 올렸다..
이제 어느정도 윤곽이 나온 상태가 되었다.
그리고 외부 공간에 재료를 입히기 시작하였다.
재료는 주 재료를 우드와 테라코타 그리고 콘크리틑 사용하려고 하였다.
기존 우당도서관 매스공간에는 테라코타를 이용하였고
도서관 공간에는 우드 재질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아카이브 센터에는 콘크리트 혹은 제주석을 이용하려고 했다.
이때부터 대충 판넬에 대해서 윤곽을 가지고 가기
레이아웃을 만들었다.
판넬 레이아웃
위쪽에서부터 차근차근 다이어그램을 만들어야 했다
가장 먼저 했던 것은 대지 조사 및 분석이다.
SITE ANALYSIS
레퍼런스랑 색당은 이렇게 되었다.
우당도서관 다이어그램
그리고 기존 우당도서관에 대한 조사 및 분석과 지역적 변천사에 대해서 다이어그램을 만들었다.
UDANG TIME LAPSE
우당도서관의 타임랩스를 만들어
시간이 지날수록 어떤 과정을 가지는지 다이어그램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CONCEPT DIAGRAM
MASS DIAGRAM
다음은 매스 다이어그램이다.
스케치업에서 2D로 찍어와서 따로 다이어그램을 만들었다.
표현력을 더해서 각 과정을 기존에 우당도서관에서 현재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주었다.
'ARCHITECTURE > DESIGN 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종 설계 보고서 (0) | 2023.02.25 |
---|---|
건축설계 Ⅵ - 리모델리 설계 - 14주차 -2 최종마감전 (0) | 2023.02.02 |
건축설계 Ⅵ - 리모델리 설계 - 13주차 (3) | 2022.12.28 |
건축설계 Ⅵ - 리모델리 설계 - 12주차 (1) | 2022.12.27 |
건축설계 Ⅵ - 리모델리 설계 - 11주차 (0)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