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 Ⅳ -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캡스톤) 2-2주차

ARCHITECTURE/DESIGN Ⅳ 2021. 9. 18.

ARCHITECUTRE DESIGN

 

SOCIAL HOUSING

 

사이트분석은 기존과 같습니다.

 

사례조사를 좀더 다른사람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해서

 

주변 맥락과 공간분석에 대해서 좀더 조사하였습니다.

 

ARCHDAILY 출처

첫번째 사례는 파리북부에 위치한 17지구 안에 소속되어 있으며

마틴루터킹 공원을 중심으로 계획된 도시입니다.

 

전체 3400개의 거주 유닛은 50%의 SOCIAL HOUSING으로 이루어 져 있습니다.

기반시설은 대부분 이에 결합되어 있습니다.

 

ARCHDAILY 출처

SOCIAL HOUSING 초등학교 스포츠센터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ARCHDAILY 출처

두 건축가가 두개의 블럭을 가진 주거동을 하나씩 디자인하고 그외부분은 나눠서

디자인하였습니다.

지하에는 지역주민들이 이용가능한 스포츠센터가 위치했습니다.

ARCHDAILY 출처

GROUND FLOOR에서 두 주거동의 로비가 따로 위치해 있습니다.

블록2 주거동은 LEVEL 1에서 시작해서 평면도를 확인하면 초등학교와

같이 공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RCHDAILY 출처

중측부에는 두 주거동의 공유 테라스가 위치해 있습니다.

이 테라스는 초등학교의 옥상부분으로서 옥외공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단면도를 통해서 수직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된 프로그램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저번 글에서 말씀 드렸듯이 첫번째 사례가 너무 공공적인 부분이 강해서

좀더 저층부에는 비슷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지만

사적인 성격이 강한 사례를 찾았습니다.

ARCHDAILY 출처
ARCHDAILY 출처

 

노란색 부분은 공용 공방같은 느낌의 스페이스렙이라는

창의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반옥외공간입니다

 

또한 파란색 부분은 선큰으로서 안뜰과

워크샵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면서 아이들이 교육을 마친후 안뜰을 통해 바로

공원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졌습니다.

 

또한 선큰과 스페이스 렙사이에는 가로를 뚤어서

너무 사적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로에서 뚤어주었습니다.

ARCHDAILY 출처
ARCHDAILY 출처
ARCHDAILY 출처

SPACELAB 800의 면적을 가진 우주실험실은 

워크샵을 통해 배운 것의 시험실로써 안뜰과 연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공간을 시각적으로 연결하여 대로 - 스페이스렙 - 안뜰이라는 단계를 만들어냅니다.

 

안뜰에는 거주민을 위한 기반시설로써 세탁휴게실이 있으며

그 옆은 스페이스렙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표현하는 쇼케이스가 있습니다.

 

안뜰에는 다양한 파빌리온이 위치하여 좀더 활동적이다기보다는 거주민들의 

활발함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같습니다.

 

대로에 위치한 면은 현관이 마주보고 있으며

현관 앞에는 복도를 좀더 대로쪽으로 내밀어서

그곳을 테라스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공간을 조사하다보니 가로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 깨달았습니다.

그렇게 우리 사이트에 어떤 가로를 적용할 수 있을까 생각했습니다.

 

사이트주변 맥락에서 전혀 보차분리가 되어있지 않았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네덜란드의 본네프.

일본의 커뮤니티 도로

영국의 홈존

과같은 보차분리에 대한 가로 계획을 가져오려고 합니다.

 

현재 스쿨존은 제한 30KM입니다.

울타리를 통해 보차분리가 되어있지만

최소폭만을 하였기 때문에 두명도 걷기 불편할 정도로 힘듭니다.

 

보행자운서옫로는 차량의 제한속도가 5~7입니다

스쿨존보다 더욱 안전성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보차분리가 도이ㅓ있지 않지만

아이들이 학교를 가기 위해서 30KM가 넘는

구간에서 위험에 쳐해있는 상황입니다.

 

지난번에 말씀드렸듯이 이 공간에 

길 - 마당 - 커뮤니티 - 주택

이라는 단계를 가지려고합니다.

 

저희는 이 각 단계에서 좀더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중간가로 - 사이트를 지나는 가로

 

생활가로 공간을 적용하려고 합니다.

외곽가로는 서쪽이 주도로이며 학교로 가는 어린이들의 보행권을 확보해야합니다.

 

남쪽도로는 도구 머리공원을 가기 위해 지나야하는 가로로서

공원으로 가는 주민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행중심의 공간을 만드는 계획을 하려고합니다.

핀터레스트 출처

마당에 대한 개념은 옥외공간에 대한 개념으로 생각하여

 

거주민을 위한 공간

지역주민을 위한공간

두공간을 이어주는 공간으로 생각했습니다.

 

공적 , 반공적 ,사적 영역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것은 3가지로 나누었습니다.

 

생활지원 영역

 

가변 영역

 

공유 영역 입니다.

 

이웃 주민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배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주택에 대한 개념입니다.

3~4인 주거가 대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방배동 평균 주거가 3~4인이 50퍼센트 이상입니다.

하지만 1인가구도 많기 때문에

무시하지 못할 경우라거 생각을 해서 

이 부분에 대해서 1~4인으로 설정하였으나

교수님께 엄청나게 혼났습니다.

 

지금까지 가족단위 이야기를 했는데

1인이 왜나오냐고....

할말을 잃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다양한 공간의 연계를 통해서

각 호에서 살아가는 혹은 지역주민들의

시퀀스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통해서

 

아이들의 보육을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

 

아이들은 학교가 끝나고 어디에 있을까?/

라는 개념을 가지고 해보려고 합니다.

근데 지금까지의 PT를 보았을때 아이들은 알겠는데

뭔가 전혀 그 전에 내용이

그와 이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저희도 정확한 컨셉에 대한 개념이 정립이되지 않아

그런것 같습니다.

 

초반에 컨셉을 먼저 잡고 거기에 맞추어서

사이트조사 및 분석을 맞추어야 하고

그거에 심화조사를 하고

그와 관련되어 사례조사를 해야합니다......

 


BIG 공동주택에 대하여

조망 % 채광

발코니 & 테라스

옥상정원

중정

구조

이 다섯가지를 가지고 들여다 봐라

 

거주자들에게 각 호에서 ㅓㅋ뮤니티 시설까지의 접근성이 가장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공동주택 중앙 배치?

 

언텍트 , 주거 공간 및 단지 내 옥외공간의 중요성

 

옥외공간 주차장을 지하주차장으로 만듬으로써 옥외공간의 확보

 

절절한 거리유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수님 크리틱 이후 

 


 

사이트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훈련이 되어야 한다.

 

교육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부분이 사이트 분석에서 나와야 할거 같다

CONCEPT을 어떻게 풀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

 

저희는 이런거 하고 싶어요라고 할 수 있을 만한 이야기가 필요하겠다

CONCEPT으로 말해야 한다. 그런데 이거를 앞에서 말했어야 했는데...

발표를 두명에서 하다보니까 맞추지 않으면 전체적인 내용이 꼬여버린다

누가 잘못했다가 아니라 그냥 팀은 개인보다 힘든거지

좋은 기회가 된다

 

CONCEPT CINCEPT CONCEPT CONCEPT CONCEPT

 

단지와 도시는 개념이 다르다.

도시주거 단지 → 도시로 컨셉이 바뀌는 과정중에 있다

 

다음주 목요일까지 스케치정도는 해와야한다

초기 스케치정도 있어야하고

CONCEPT STAGE가 필요하다

그말은 어느정도 버블조닝다이어그램 정도는 해야

각 공간에 대한 관계성을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 발표하는동안 앞에 서서 혼나느라

 

교수님 크리틱 내용을 많이 적지 못했다...

 

아쉬움이 크다 그렇지만 

맞는 말씀만 하셔서 굉장히 도움이 된다.

 

진짜 건축학도가 배워야할 자세라던지

 

이번에 말씀해주셨던것 중 하나가

 

자신은 방법론을 제시할뿐 디자인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디자인을 제시했을 시 결국 나중에 결과물을 보면

자신이 가르친 애들이 다 비슷한 결과에 이른다

결국 자신의 설계가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학생들이 자신의 설계를 해야한다.

 

이번 도시 설계 엄청나게 많이 배우긴 하는 것 같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