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 Ⅳ -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캡스톤) 3-2주차

ARCHITECTURE/DESIGN Ⅳ 2021. 10. 6.

지난 시간에 CONCEPT에 대한 크리틱이 있었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는 더욱 컨셉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컨셉을 도출하기 위한 사이트 분석에 있어서

저희 컨셉에 더욱 어울리는 세부적인 사이트 분석을하였습니다.

 

저희는 방배동이에서 도서관과 청소년 아동복지시설 및 보육시설의 부족에 대해서

필요성을 느꼈고 그것을 컨셉화 하기 위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저희 사이트인 방배 2동의 사이트는 유일하게 주민센터에 속해있는

작은 도서관이 유일한 도서관입니다.

 

그리고 방배 2동 작은 도서관은 서초구의 작은 도서관중에서

가장 작은 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도서관과 보육시설의 부족은

저희는 방과후 학생들이 있을 공간의 부족으로 느꼈고

사이트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위치한 초등학교의 1인당 보유장서수는 서울시에 비해서 7권정도 적은 수준입니다.

또한 이에 대해서 1인당 대출자료수또한 3권정도로 평균이 낮은 상태입니다.

 

또한 사이트에서 가까운 중학교 또한 비슷한 상황입니다.

 

저희는 초등학교마다 1인당 대출수가 주변환경과 연관되어 있다는 생각을 하였고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6곳의 대출수가 높은 학교와 적은 학교를 비교하였습니다.

저희는 우암초등학교, 신중초등학교, 반원초등학교 3군대를 대출수가 많은 학교로 선정하였습니다.

대출량이 많은 만큼 학교 주변에 녹지 공간과 학생들이 야외에서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합니다.

 

그외 대출량이 거의없는 학교는 역주변에 위치하거나 고속도로가 위치하는 등

상업지역에 위치하였고 학생들이 방과후 머무를 공간의 부족이 느껴지는 공간이었습니다.

 

 

이렇게 학교의 대출량수는 본인들의 자가에서의 외부공간과 연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외부 여유공간의 부족은 방과후 학교 참여율로도 나타났습니다.

 

서초구에서 학교 독서 대출량과 여유공간이 많았던 앞선 3학교에서는

방과후 학교 참요율이 낮았습니다.

 

하지만 이수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참여율이 높은 것은

학생들이 방과후 사이트 주변에서 머무를 여유공간의 부족을 의미합니다.

 

 

이번 사례조사에서는 일본의 후지 유치원을 가져왔습니다

대지면적이 약 5000으로 원형의 모습을 가집니다.

 

유치원생들은 계속 뛰어다녀도 원형이기 때문에 결국 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다양한 경사를 통해서 의도적으로 뛰도록 유도했다.

 

해당 유치원의 학생들은 평균 유치원의 학생들보다 몇배는 더 많이 뛴다는 것을 발견!

 

다른사례로는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문화센터

 

각 주요 메스들 사이사이 공간들을 놀이공간화 하였고

상층부로 갈 수록 이용 연령대가 높아지는 구성으로 보호자들은

상층부에서 아이들이 노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구조를 가집니다.

 

 


 

그래서 저희는 방향성에 대햐ㅐ서 간단하게 스케치를 시작하였습니다.

기존의 양옆에 녹지공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여유공간의 한계를 넘어보자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빨간 부분은 주차진입로로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사이트공간에 대해서

주도로에는 가변(상업)공간을 두고

좀더 사이트 내부에는 지원공간을 위치시키고

 

커뮤니티 공간을 남쪽 도로에 위치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어린이공원과 마을 공원을 연계시킴으로서

지역주민들과의 커뮤니티 공간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좀더 세부적인 프로그램으로 들어가자 생각하였습니다.

 

사이트 진입구에는 관리 사무소를 두고 커뮤니티 공간에

보육공간을 둠으로써 사이트에 위치한 거주민들만이 다니는 공간이 아닌

사이트 주변 다른 곳에 사는 사람들이 이 보육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2층공간에는 옥외공간과 도서관 이나

지역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위치 시키고자 했고

주택으로서 표현하고자 합니다.

 


 

교수님 크리틱 

 


 

가로에 진출입을 두어서는 안된다.

다른 팀과 맞춰서 생각 해야한다.

방배 2동 에 대한 블럭마다 팀이 나눠져 있기 때문에

주변 팀광 어느정도 생각을 해야한다...

 

SCALE ABOUT SOCIAL HOUSING

 

차향권/ 조망권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타워형 주택을 사이트 북쪽에 위치한다면

북쪽에 위치한 블럭 사이트의 조망권을 망치고 만다.

 

대부분 사이트 남쪽에 사이트 주거형태를 만드는 것이 현명하다.

 

집은 남쪽에 높게 해야한다.

디자인은 설명되어야한다. 

가로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과연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해서 그공간에 있을 만한 이유가 맞나...

관리사무소가 가장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고간에 있는게 맞나?

 

또한 주차진입로가 차량을 위해서 보행을 포기해야하는가?

전혀아니지 보행을 위해서 차량을 어렵게 만드는게 더욱 맞다.

 

일자리 창출에 대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