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 Ⅳ -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캡스톤) 1-2주차
ARCHITECTURE DESIGN
SOCIAL HOUSING
기존에 교수님의 피드백을 받은 후 저희는 좀더 세부적인
사이트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좀더 도시 맥락적인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고
앞으로 이 지역에 있을 도시 계획에 대하여 조사 해본 결과
중심적으로 크게
저희 사이트가 방배재건축 15구역에 속해 있다는 것과
사당역에 복합환승센터(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후 저희는 PT에 있어서 우리만 아는 PT가 아닌
클라이언트에게 소개하기 위한 PT를 해야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좀더 사이트에 대해서 세부적인 부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사이트 환경에 대해서 더욱 세부적으로 조사했습니다.
사이트에는 4M 중간가로가 존재합니다.
중간 가로를 기준으로 동쪽의 건축물 들은 70~90년대 건물들이 주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90~10년대 다소 동쪽에 비해 노후도가 낮은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사이트의 등고에 대해서 더욱 세부적으로 조사하였습니다.
등고가 가장 많이 차이나는 것은 6000MM정도 였습니다.
경사에 적절하게 대으안다면 장점으로 적용시킬 수 있겠다 생각했습니다.
종합 적으로 한눈에 보기 위해서
표를 통해서 밝혔습니다.
지역성에 대해서는 노후화된 주택 밀집 지역이며 가족단위의 구성을 가지고 교육에 유리하다입니다.
기능성에 대해서는 양쪽 녹지를 두고 있고 4면 도로에 위치하며
중간가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성에 대해서는 어린이 공원에서
여러 세대가 한정된 공간에서 활동하며 주민들이 도구공원으로
가기 위해서는 사이트의 남쪽 도로를 지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환경적인 부분에 대해서 도구공원으로 갈 수록 올라가는 경사를 가지며
양쪽에 녹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도시 주거란 무엇인가...?
도시 공간 속에서 어느정도의 밀도를 가진 주거형태를 생각한다.
여기서 도시속에서 한옥,단독주택은 조금 제외시킬 수 있을 거 같다.
이 계획을 바탕으로 했을 때 밀도와 적절한 거리에 대한 필요가 있을 텐데
이것을 다루는 것이 도시주거에서 핵심이 아닐까....?
주거라는 것은 집을 중시므로 한 우리의 삶 또는 생활을 이야기하며
거리 관계 차원에서의 개념이 아닐까 싶다.
오래전 우리주거의 관계와 생각을 해보면
우리집과 우리가 일하는 곳은 같은 곳이 아니였을 까
주거의 개념에는 원래 작업의 공간이 함꼐 하는 것은 아닐까
조선시대때 시간에 보면 장사하는 공간은 집의 일부였을 것이다.
모두가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원래부터 주거의 개념에는 작업공간의 개념이 있었다는 것이다.
코로나 시대의 필요한 부분이 아닌가 싶다.
교수님 크리틱 이후
생활권계획 → 지역 생활권계획 → 세부 생활권계획
서울 생활권 계획은 너무 큰범위,
지역,세부 생활권 계획정도여야 사이트에 영향을 줄만한 내용
서울시 2030프로젝트
PT위계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ART VS DESIGN
아트와 디자인에 대하여 생각해 보아라
건축은 예술이 아니다
예술은 굉장히 개인적인 주관적인
디자인은 남을 위한
PT에 대해서 클라이언트를 이해시키고
설득시키고 이해를 시키고 전문적인 발언을 하는 것이 좋아
"도시는 길이다"
길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되어야 한다.
계획적이다는 것이지.....
10명의 애인과 같이사는 건축
- 어떤 도시 주거를 하면 좋은거냐 이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호타쿠보 단지
각자의 입구와 중정으로 향하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공용공간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ㅎㅎ
PT에 대하여
물리적 현황
- MACRO - 거시적 현황
주변 현황
- MICRO - 미시적 현황
사이트 현황
비물리적 현황 - 인구, 동향 등등
주변 맥락 특성에 대하여....
종합적인 결론 에서 지역성에 대하여
무리하게 X
큰 텍스트로 SITE 특징에 대하여
위계를 맞춰서 정리하면 된다.
SITE ANALYSIS → CONCEPT
근거 있는 이야기를 해야한다.
우리는 이렇게 사이트조사를 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을
생각해서 이러한 컨셉을 이루고자 합니다.
설계 솔류션/방향성 전에
컨셉에 대한 부분이 나와야한다.
도시의 컨셉에 대하여
그리고 컨셉을 가지고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방향성이 먼저나와서는 안된다.
'ARCHITECTURE > DESIGN 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설계 Ⅳ -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캡스톤) 4-1주차 (0) | 2021.10.16 |
---|---|
건축설계 Ⅳ -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캡스톤) 3-2주차 (0) | 2021.10.06 |
건축설계 Ⅳ -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캡스톤) 2-2주차 (0) | 2021.09.18 |
건축설계 Ⅳ -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캡스톤) 2-1주차 (0) | 2021.09.18 |
건축설계 Ⅳ -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캡스톤) 1-1주차 (0) | 202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