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 Ⅳ -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캡스톤) 1-1주차

ARCHITECTURE/DESIGN Ⅳ 2021. 9. 14.

지속가느한 건축 (Sustainable Architecture)은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건축을 통하여 지구 문명과 미래 시대를 생각하는 건축을 의미한다.

 

도시 주거, 도시건축의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한 학기동안 도시건축계의

전 프로세스를 경험하게 됨에 목표를 둠

 

이번학기는 중앙대학교로 교류수학을 와서 서울에서 반년동안 학교를 다닙니다.

 

지속가능한 도시주거에 대한 내용들에 대해서 스터디가 필요했습니다.

처음하는 학교에서 커다란 스케일 이기때문에 긴장이 되었습니다.

 

이번학기 프로젝트가 도시설계이다보니 도시설계는 도시에서 해야한다

생각하여 교류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사당역 방배 2동 일대 구역입니다.

사이트 규모는 약 6000m2입니다.

 

우선 다이어그램을 정리하기 위해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사이트를 수치지형도를 다운 받은 다음에

파일들을 정리하고 포토샵으로 보기좋게 범위를 칠하였습니다.

 

 

사이트 환경적인 부분입니다.

방배 2동은 연령 인구비율이 다소 고른 편입니다.

또한 서울시 1인 인구에 비해 비율이 낮으며

2~3,4인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가족단위 구성이 많은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사이트 주변 소음 다이어그램

5층 미만의 주거용 건축비율이 서초구에 비해서 12.6%

또한 노후건축물 비율이 10~30년 정도가 대부분의 노후화되어 가고 있는 와중에 있습니다.

주변 사이트에서 차량이 많은 매인도로를 제오하고 아파트 부지를 제외하면

초등학교만 최소범위를 지키고 있고 그 외에는

전혀 보차분리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사이트 서쪽에는 청두어린이공원이 위치하고 있는데

답사를 갔을 때 이 지역의 모든 주민이 모여있는 느낌을 받았다.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있었고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세대가 한번에 위치한 공간이었습니다.

 

거기서는 아이들이 배드민턴을 하고 놀이터에서 놀고있고 그것을 지켜보는 어른들...

아이들과 배드민턴 치는 가족들, 녹지에서 수다를 떨고계시는 할머니들

이런 녹지의 모든 환경을 그리고 계시는 할아버지

 

하지만 너무 많은 인원들이 한정된 공간속에서 모여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또한 적절한 커뮤니티를 위해서는 적절한 거리유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열린쉼터라는 의미에 작은 도서관이 배치되어 있었지만 실상으로

쓰이지는 않는 이쁜 아웃테리어가 되어 있는 샘입니다.

 

사이트 동쪽에는 도구머리공원이 위치하였습니다.

도구머리공원은 사이트를 지나서 올라가는 샛길을 가지고 있는데

 

사람도 별로없고 샛길로 굉장히 구석 골목에 들어가야지만 갈수 있어서

연결통로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이트는 약 5~6m정도 등고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것은 건축학도에게 있어서 굉장히 재미있는 요소입니다.

 

나중에 이 요소를 어떻게 쓸지 기대가 됩니다.

그렇게 프로그램 제안을 하자면 기존에 있던 어린이집이나 각 세대가 필요로 하는 공간을

저층부에 배치하여 지역주민들간의 상생을 도모하고 

등고를 이용하여 다층화된 녹지공간을 만들어 서쪽의 청두어린이공원의 밀집 인구를

자연스럽게 도구머리공원으로써 옮겨 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교수님 크리틱 이후

 


 

접근 해야하는 프로세스 PROCESS 도시 개발에 대한

계획에 실마리를 찾아가야 하는 → 계획에 어려운 듯한 형식이 부족하다...

전체도시 전체 방향에 대한 방향성이 필요하다

 

TOTAL PROGRAM에 대하여 주요 핵심키워드를 보여라

ANALYSIS 서울 - 계획에 따르면...서울에서 하는 서울 생활권 계획이 있다

 

안내선 같은걸 해야하는것 같다..

질문) 다른팀들이 집합주택을 만들 것을 고려하고 계획을 해야하는가?

 

카페거리와의 FELL과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없다

 

길이 살아 있다? → 좀더 전체적인 분위기에서 자연스럽게 내사이트까지 연결하는 법을 알아야한다.

 

경제적인 면을 생각하여 고려 디자인 DESIGN

HOW TO USE

정비사업/ 재개발사업

용적률 200~250%을 기준으로 생각하여 계획하여라

 

높이 제한  MAX MAYBE

10~12층까지 가능할듯 최고 층수/ 평균층수를 7층으로 하면될듯하다

제 2종(7층제한)에 따라서

 

과업범위 과업배경 → 기존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주거?

 

필요성 구축 → 계획을 왜 해야하는가?

하위 자료로서 인구 및 가구 현황

도시 계획현황

토지 현황

건축물 현황

도로의 폭원

길 현황

주변 동향

 

마지막 

총결을 장단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