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 Ⅵ - 리모델리 설계 - 10주차

ARCHITECTURE/DESIGN Ⅵ 2022. 12. 27.

건축설계 Ⅵ - 리모델리 설계 -  10주차 

 

콘타 대지를 다시 작업하고 

이제 메스 프로그램이랑 대지에 대한 스케치업을 만들었다. 

 

사라봉과 별도봉 그리고 알오름 봉오리가 3개나 있어서 등고가 미친듯이 많았다....

이번에 리모델링 사례로서 기존 건축물과 현대 건축물의 혼합형인 해체주의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사례를 찾아보았다...

 

 

새로운 박물관 지구는 한때 번성하고 많은 살마들이 방문했던 지역, 박물관이 위치한 지구는 한동안 사람이 없었다. 하지만 국제적 목적을 해 문화 센터 및 박물관 지역으로 바꾸는 촉매제가 되었다.

 

추가 형태는 빛나는 파란색 스틸 패널로 덮여 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에서 반사되는 빛을 확산하고 부드럽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독특한 크로스해칭 표면으로 마감했다.

패널은 시간, 날씨 및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어 역동적이고 생생한 표면을 만든다.

이러한 현상학적 디자인에 대해서 조사하고 사람들의 입장에 따라 달라지는 디자인을 계획한다.

박물관의 형태는 터키, 시리아, 이란, 이라크와 같은 쿠르드족 지역을 나타내는 개의 맞물린 기하학적 볼륨으로 만들어졌다. 볼륨은 쿠르디스탄의 과거와 미래를 나타내는 개의 각진 조각으로 나뉜 선으로 교차한다.  조각은 감정적 이중성을 만든다. 무겁고 불투명한 덩어리인 안팔 라인은 사담 후세인 치하의 대량 학살을 상징한다. 그리고 쿠르드 문화의 강력한 상징인 하늘을 향해 올라가 영원한 불꽃으로 절정에 이르는 녹지로 가득 격자 구조인 리버티 라인이 있다.

 

라이브러리 공간에서 현상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기존 아침의 해의 빛과 저녁의 해의 빛이 다르다는 개념을 통하고 선라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현상학적으로 빛의 색의 변화와 사람들의 시선적 변화를 적용하여 디자인 개념으로 만들것이다.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작품을 보면서

그의 건축적 생각이 리모델링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궁금하게 되었고 더욱 조사하게되었다. 

 


앞으로의 내용들은 건축 논문을 통해 발취한 내용이다.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박물관 전시공간 구축방식에 관한 연구 中

 

전시관람의 연속성 

- 연속적 전시관람 

- 전이공간이 전시공간 내에 위치하거나 , 전시공간에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지만 전시공간의 역할을 할 때 혹은 연결 기능에 충실하 때 전시관람의 연속성이 강하다.

 

- 불연속적  전시관람

- 입구홀과 연결된 전이공간이 전시실들을 통합하는 대공간으로서 전시관람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시관림이 불연속으로 일어난다. 

 

다니엘 리베스켄트의 박물관의 전시공간 분류

- 선형 전시공간 - 

선형틀에 연속적 전시관람이 이루어지는 전시공간으로 형태와 움직임이 모두 선형이다.

- 비선형 전시공간

뭉친 선형틀 및 결정형틀에 불연속적 전시관람이 이루어지는 전시공간으로 형태와 움직임이 모두 비선형이다.

- 복합적 전시공간

결정형틀 및 혼합형틀에 연속적 전시관람이 이루어지는 전시공간으로 비선형의 형태에 선형의 움직임이다.

 결론

더보기

결론적으로 다니엘 리메스킨트의 박물관은 전이공간과 전시공간의 관계에 따라 전시관람이 연속적, 혹은불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전이공간이 대공간의 형태로 박물관의 중심 역할을 하는 통합적 전이공간일 때 전시관람 외의 행위가 간섭하여 불연속적 전시관람이 나타난다. 그러나 전시공간 내에 존재하는 종속적 전이공간이나, 입구홀 과 전시공간에 분리된 독립적 전이공간은 전시, 연결 기능이 강하여 연속적 전시관람을 가능하게 한다. 다니엘 리베스킨트는 종속적이거나 독립적 전이공간을 갖는 선형의 틀에서 결정형을 시도하며 통합적 전이공간을 취하지만 다시 독립적 전이공간으로 수정하여 결정형의 틀에서도 연속적 전시관람을 형성한다.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홀로코스트와 관련된 초기 건축작품을 중심으로 공간 구성에서 나타나는 건축이념 분석

 

더보기

1.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은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을 중심으로 베를린 도심지에 형성된 선들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다비드의 별이나 부재공간에서 체험하게 되는 빛과 어둠등을 통해 파악된다.

유대인 공동체의 트라우마는 건축물에서 재현되는 역사성과 부재공간이 가지는 추상성과 관련된 건축이념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류

 

2. 다니엘 리베스킨의 음악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리베스킨트 건축의 하이브리드적 경향에서 드러난다. 

즉, 음악에서 이루지 못한 표현의 한계와 음악에서 표현되는 보이지 않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배경은 전통적인 사고 속에 정형화된 기능을 확장하고 구조를 해체함으로써 도시환경의 내부로 끌어들이는 연속성과 불규칙한 선적 공간들이 가지는 연결성으로 표출된다. 

 

3. 유대인으로서의 그의 삶과 음악적 영향은 이후 건축가로서의 삶과 아울러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해체주의적 표현경향이 두드러지는 독특한 건축이념을 형성하게 했다. 

유대인이라는 태생적 배경과 음악인으로서의 학문적 배경이 그의 주요 건축작품에서 읽을 수 있는 역사성과 장소성 그리고 연결성, 연속성, 추사성과 같은 독특한 건축이념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배치. 동선, 축, 단면과 같은 공간구성 등에서 직접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